반응형

Devian 2

[Linux]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

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 구조로 되어 있다. 디렉토리 하단에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"서브 디렉토리"라고 한다. 디렉토리는 파일을 담고 있다. 명령어 디렉토리 이동 : cd cd만 쓰고 엔터 : 홈 디렉토리 파일 목록 보기 : ls 현재 작업 디렉토리 보기 : pwd 디렉토리의 역할 /etc /etc/passwd, /etc/hostname, /etc/httpd/ ASCII TEXT 형태로 사람들이 볼 수 있게 시스템 설정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. /var /var/log 작업 내용들이 로그로 기록되어 있다. 해당 공간이 가득 찰 경우, 부팅이 안될 수가 있다. /tmp 요즘 리눅스는 tmp와 비슷하게, /run 디렉토리에도 임시 파일들이 존재한다. 대부분 임시파일로 .socket 파..

IT/Linux 2021.09.15

[GCP] VM 인스턴스 생성하기

이름 작성 및 리전 선택 : 리전과 영역의 경우, 영구적이므로, 처음 선택 시,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, 가급적이면 본인 거주지 근처로 선택한다. 머신 구성 저의 경우, 머신 구성은 최대한 작은 인스턴스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기 때문에, E2-micro로 선택 다른 분들께서는 필요하신만큼 설정해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 부팅 디스크 부팅 디스크는 필요하신 용량과 운영체제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. 저의 경우, CentOS가 필요하여 해당 OS를 선택하였지만, 데비안, 우분투 등 여러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IP 및 API 액세스 해당 부분에 대해서 저도 정확하게는 알지 못하여 기본으로 선택하였는데, 추후에 추가글로 수정해서 다시 설명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. 방화벽 방화벽은 외부..

IT/Cloud 2021.09.14